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11.응용 SW기초기술활용]

by 하겐모아 2024. 1. 17.



(6)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OPT(OPTimal replacement, 최적교체)
>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 페이지 폴트가 가장 적다

📌 FIFO(First In First Out)
> 가장 먼저 들어와서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

📌 LRU(Least Recently Used)
>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 LFU(Least Frequently Used)
>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

(7) 가상기억장치 기타 관리 사항
📌워킹셋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 페이지폴트 현상이 줄어들어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이 안정된다.

📌스레싱
> 프로세스의 처리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 자주 페이지폴트가 발생, 성능 저하

(8) 프로세스의 개요
📌PCB(Process Control Block)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곳

#프로세스 상태 전이
📌Dispatch 
>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준비 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 중 실행될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CPU를 할당하는 동작

 

📌 문맥교환

> 디스패치가 수행되면 CPU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문맥 상태를 PCB에 저장하고 다음 프로세의 PCB로부터 문맥을 복원하는 것


📌스레드
>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 프로세스보다 가벼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순차적인 제어의 흐름이며, 실행 단위임

(9) 스케줄링
📌스케줄링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이 될 때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

📌비선점 스케줄링
>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없는 스케줄링 기법
> FCFS, SJF, 우선순위, HRN

📌선점 스케줄링
>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는 스케줄링 기법
> Round Robin , SRT, 선점 우선순위

(10) 주요 스케줄링 알고리즘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선입선출) = FIFO
> 준비상태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CPU를 할당하는 기법

📌SJF (Shortest Job First, 단기작업우선)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먼저 CPU 할당

 

📌 SRT (Shortest Remaining Time)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에게 할당

📌HRN (Highest Response-raio Next)
>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
>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가장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식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시간

 

📌 RR (Round Robin)

> 시간 할당량 동안만 실행한다.


(13) IP
📌IP주소
네트워크 부분 | 호스트 부분
8 16 24 32
A Class = 네트워크 8  + 호스트 24
B Class = 네트워크 16  + 호스트 16
C Class = 네트워크 24  + 호스트 8

📌서브네팅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

📌IPv6

주소 체계 3가지
유니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1 : 1)
멀티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 (1 : 다)
애니캐스트 : 단일송신자와 가장 가까이에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1 : 1)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하는 것

📌DNS 서버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14) OSI 참조 모델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 리피터, 허브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 2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연결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한다.

>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연결설정, 데이터 전송,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
> 흐름제어, 프레임의 동기화, 오류 제어, 순서 제어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네트워크 계층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을 한다.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며 , 경로제어, 패킷 교환, 트래픽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라우터

📌전송계층(Transport Layer)
>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End to End)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TCP / UPD 표준
> 게이트웨이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송수신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

📌표현계층 (Presentation Layer)
> 응용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 세션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계층에 맞게 변환
>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으로,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15) 네트워크 관련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
>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 이더넷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

📌허브
>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각각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

📌리피터(Repeater)
>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쇠하는 디지털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 수신한 신호를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하는 장치
> 물리계층에서 사용

📌브리지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안에서 컴퓨터 그룹을 연결하는 장치
>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 일 수 있다.

📌스위치
>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전송속도가 빠름
> 데이터링크계층에서 사용

📌 라우터
>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의 연결 기능에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이 추가된 장치
>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

📌게이트웨이
> OSI전 계층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 세션 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간을 연결

(16) TCP/IP
📌프로토콜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커 놓은 통신 규약

📌 TCP/IP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 21번 포트

 

📌SSH

> 보안 기능을 추가

> 22번 포트

 

📌TELNET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23번 포트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전자 우편을 교환하는 서비스

> 25번 포트

📌pop3

> 메일을 받음

> 110번 포트

 

📌IMAP

> 인터넷을 통해 메일 메시지를 액세스해서 받음

> 143번 포트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TCP/IP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규약

>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 UDP 161번 포트와 UDP 162번 포트를 사용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WWW웹에서 HTML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

> 80번 포트

#전송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양방향 연결형 / 가상회선 연결 서비스 제공
>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

> 179번 포트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전송속도 빠름 / 신뢰성보다는 속도

 

 

먼저 110 143 161은 외워야 합니다

다음 21, 22, 23, 한칸 띠고 25를 차례로 씁니다,

다음 80과 유사한 100을 더하고 1을 뺀 179를 씁니다.

21부터 적기 시작합니다.

가장 단순하게 파일을 전송하는 FTP는 21

다음 보안기능을 추가한 SSH는 22

거기에 인터넷과 로컬을 연결하는 Telnet.이 23

한칸띠고 심플하게 메일 보내는 기능을 추가한 SMTP 가 25

여기서 문단을 바꿔 110, 143 161로 갑니다

이제 메일을 받아야 하는데 우체국을 통해서 받는 POP3가 110

다음 인터넷을 통해 메일메시지를 액세스해서 받는 IMAP가 143

그리고 그런 네트워크를 심플하게 관리하는 SNMP가 161로 끝나면

마지막 문단입니다.

우리가 가장 익숙한 HTTP가 80 (여기까지는 모두 7계층)

그 다음 익숙하고 갑자기 4계층으로 가는 TCP가 179입니다.

 


#인터넷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함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호스트나 라우터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로 바꿈

📌 RARP
> ARP와 반대로 물리적 주소MAC 주소 를 IP주소로 변환하는 기능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Ethernet (IEEE 802.3)
> CSMA /CD 방식의  LAN
📌IEEE 802
> LAN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HDLC
> 데이터링크제어 프로토콜
📌X.25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RS-232C
>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보안 프로토콜

📌 WPA

> 이전의 유선 동등 프라이버시의 취약점 때문에 그 대안으로 나온 프로토콜로, TKIP를 통해 데이터 암호화를 향상시켰다.

(17)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IoT (사물인터넷)
> 정보 통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

 

📌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 경량 메시징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 IoT장치, 텔레메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

> 저전력센서, 스위치,밸브 등의 기기에 대한 표준적 인터넷환경을 지원

 

📌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 M2M 노드들 사이에서 이벤트에 대한 송수신을 비동기적으로 전송하는 REST 기반의 프로토콜이자 제약이 있는 장치들을 위한 특수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 다양한 IoT 산업에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 비동기적 REST 기반 프로토콜



📌 M2M (Machine to Machine) 사물통신
>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모바일 컴퓨팅
> 휴대용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클라우드 컴퓨팅
> 각종 컴퓨터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

> 매우 큰 가상화된 컴퓨터 환경

📌그리드 컴퓨팅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하여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고성능 컴퓨터처럼 활용하는 기술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MCC)
> 소비자와 소비자의 파트너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성하여 여러 가지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ICT 기술

📌인터클라우드 컴퓨팅
> 각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동하거나 컴퓨팅 자원의 동적 할당이 가능하도록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원을 연결하는 기술

📌 메시 네트워크
>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있음

📌와이선
>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 NDN(Named Data Networking)
>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

📌NGN (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
> ITU-T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 사용자를 목표로 하며, 이동 통신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이동성 제공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음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트래픽의 경로를 지정하는 제어평면과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평면을 분리하여, OpenFlow 프로토콜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프로그램 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 가까운 거리에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RFID 기술의 일종

📌UWB (Ultra WideBand)초광대역
>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로 무선 디지털 펄스라고도 함.

📌피코넷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스마트 그리드

> 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

 

📌지그비(Zigbee)

>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

>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 보안 시스템 ON/OFF 가능

>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저전력, 저속, 저비용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 웨어러블 또는 몸에 심는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GIS (Geogra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 지리적인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

📌 USN (Ubiquti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 모든 사물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센서를 통해 탐지된사물의 인식 정보는 물론 주변의 온도, 습도, 위치 정보 , 압력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수집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SON (Self Organizing Network) 자동구성 네트워크
> 주변 상황에 맞추어 스스로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애드 훅 네트워크 (Ad-hoc Network)
> 재난 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 만을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

📌 Network Slicing
>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물리적인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를 독립된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술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E ; Blutetooth Low Energy)
> 일반 블루투스와 동일한 2.4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연결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를 유지하는 기술

📌파장분할 다중화 (WDM; Wavelengh Divison Multiplexing)
>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 기술의 하나로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신호를 보냄으로써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SDDC; Software Defined Data CEnter)
>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 및 제어되는 데이터 센터

 

📌 킬 스위치

> 스마트폰 도난시 웹 사이트를 통해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폭 기능

 

(18) 네트워크 구축
📌성형(중앙 집중형)
>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 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링형 
> 컴퓨터와 단말 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시킨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의 구성형태
> 단말 장치의 추가제거가 어렵다

📌버스형
> 1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계층형 (Tree, 분산형)
>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 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시키고 , 이웃하는 ㅈ

📌망형 (Mesh)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
> 회선 개수 n(n-1)/2개

(19) 스위치
📌백본 스위치 (Backbone Switch)
>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를 백본이라 하며, 백본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장비를 백본 스위치라고 한다.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하여 Broadcast Domain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향상 및 보안성 증대 효과가 있는 기술

📌 STP(Spanning Tree Protocol)

> 2개 이상의 스위치가 여러 경로로 연결될 때, 무한 루프 현상을 막기 위해서 우선순위에 따라 1개의 경로로만 통신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20)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경로제어 (Routing)
> 송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자율  시스템 (AS; Autonomous System)은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라우터들의 집합을 의미

#경로제어 프로토콜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하나의 자율 시스템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이 사용됨
>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됨
> 최단 경로 탐색에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함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음
>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될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를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함

> AS상호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로 변경 발생 시 대상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를 경로 벡터 알고리즘을통해 선정

📌흐름제어
> 송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정지-대기 (stop-and-Wait) 
> 수신 측의 확인 신호(Ack)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할 수 있음

📌슬라이딩 윈도우
> 확인 신호, 즉 수신 통지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21) SW 관련 신기술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 인간의 지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여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과 사고를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딥러닝
>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는 개념으로, 여러 계층의 신경망을 구성해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술

 

📌 머신러닝

> 컴퓨터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여 예측이나 판단을 제공하는 기술

📌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

📌블록체인
>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분산 원장 기술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분산원장 은 복제, 공유 또는 동기화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합의 기술이다
>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P2P 망내의 참여자들에게 모든 거래 목록이 분산 저장되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디지털 원장

📌해시
>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

📌양자 암호키 분해 (QKD; Quantum Key Distribution)
>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하는 기술

📌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PET; Privacy Enhancing Technology)
> 개인정보 침해 위협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

📌공통 평가 기준 (CC; Common Criteria)
> 정보화 순기능 역할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화 제품의 정보보호 기능과 이에 대한 사용 환경 등급을 정한 기준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기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변경 시스템의 구축 운영이 미칠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제도

📌그레이웨어 (Grayware) 
>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일 수도 있는 애드웨어, 트랙웨어, 기타 악성 코드나 악성 공유웨어를 말함

📌매시업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기술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RIA)
>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렉티브 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 페이지

📌시멘틱 웹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 증발품 (Vaporware)
>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

📌OGSA(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스크로 (Software Escrow)
>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복잡 이벤트 처리 (CEP: Complex Event Processing)
>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방법

📌Digital Twin
> 현실 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 SSO (Single Sign On)

> 한 번의 시스템 인증을 통하여 여러 정보시스템에 재인증 절차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통합 로그인 솔루션

 

📌 마이 데이터

>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관리, 통제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를 신용이나 자산관리 등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

> 개인의 동의하에 타 기업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받아서 필요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음

 

===

- A 은행은 사용자의 가입정보를 보관하고 있고, 사용자가 B 은행의 상품 가입을 하려고 하고 있다.

- B 은행에서 사용자의 가입정보를 새롭게 수집하지 않고, 사용자의 동의하에 이것을 통해서 A 은행에서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가입정보를 B 은행에서 받아서 사용하려고 한다.

===

 

(24) 고가용성

📌고가용성 (HA; High Availability)
> 긴 시간 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

📌4D Printing
> 특정 기능이나 환경 조건이 갖추어지면 스스로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제조되는 자가 조립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3D Printing 하는 기술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할 경우,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거나 쓸 수 있으므로, 디스크 속도 향상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컴패니언 스크린
> N-Screen의 한 종류로, 세컨드 스크린이라고도 불림

📌Thin Client PC
> 하드디스크나 주변 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패블릿
> Phone과 Tablet의 합성어, 태블릿 기능을 포함한 5인치 이상의 대화면 스마트폰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초소형 전자 기계 시스템
>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 등 기계 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

📌 트러스트존 기술
>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세 일반 앱을 처리하는 일반 구역과 보안이 필요한 앱을 처리하는 보안 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

> 프로세서 안에 독립적인 보안 구역을 따로 두어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ARM사에서 개발한 보안 기술

📌M-DISC (Millennial DISC)
> 한 번의 기록만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할 수 있는 광 저장장치

📌Memristor(멤리스터)
>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 전류의 방향과 양 등 기존의 경험을 모두 기억하는 특별한 소자

(25) Secure OS

📌Secure OS
> 보안기능을 갖춘 커널을 이식하여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보호하는 운영체제

📌참조모니터
> 보호 대상 객체에 대한 접근통제를 수행하는 추상 머신이며, 이거를 실제로 구현한 것이 보안 커널

(26) DB관련 신기술

📌 빅데이터
>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데이터집합

 

*빅데이터 수집기술

📌 척와 (Chukwa)

> 비정형 데이터 수집기술로 분산된 각 서버에서 에이전트를 실행하고, 컬렉터가 에이전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HDFS에 저장하는 기술

📌 스쿱(Sqoop)

> 정형 데이터 수집기술로 커넥터를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HDFS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Broad Data
> 기업 마케팅에 있어 효율적이고 다양한 데이터이며, 이전에 사용하지 않거나 알지 못했던 새로운 데이터나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

📌Meta Data 
>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
> HTML 문서에서는 메타 태크 내의 내용이 메타 데이터임

📌디지털 아카이빙
>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하둡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일반 PC급 컴퓨터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그안에 보관된 거대한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맵리듀스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타조 (Tajo)
>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데이터웨어하우스
> 정보와 창고의 합성어, 기업의 의사 결정 과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주제별로 통합 축적해 놓은 DB

>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마트

>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웨어하우스


📌데이터 다이터트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중복된 정보는 배제,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나누어 작업하는 방법

📌데이터 마이닝
>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에 내재된 변수 사이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온라인 분석 처리
>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식

>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데이터를 전략적인 정보로 변환시켜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 베이퍼웨어 (Vaporware)

>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제품,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기업이나 개인이 제품을 발표한 후, 실제로는 출시되지 않거나 개발이 중단된 경우에 사용

 

📌 사회공학 

>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

 

📌 다크데이터

> 특정 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나, 이후 활용되지 않고 미래에 보안 위험을 초래

(27) 회복/병행제어
📌회복
>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되기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연기 갱신 기법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질적인 갱신을 연기하는 방법

📌즉각 갱신 기법
>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면 즉시 셀제 DB에 반영하는 방법


📌 병행 제어 (Concurrency Control)
> 다중 프로그램의 이점을 활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 수행할 때,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DB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것

#병행 제어의 종류
📌로킹
> 트랜잭션이 사용하는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잠금을 설정한 트랜잭션이 해제할때 까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호배제 기능을 제공하는 기법

📌타임 스탬프 순서
> 트랜잭션과 트랜잭션이 읽거나 갱신한 데이터에 대해 트랜잭션이 실행을 하기 전에 시간표(Time Stamp)를 부여하여 부여된 시간에 따라 작업을 수행

📌로킹 단위
> 병행 제어에서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

(28) 교착상채 (Dead Lock)
📌 교착상채
> 둘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교착상태 필요충분조건
> 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환형대기

 

# 서버와 저장 장치  연결

📌DAS (Direct Attached Storage)

> 하드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저장 장치와 서버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에 접속하고,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방식

📌SAN (Storage Area Network)

> 서버와 스토리지를 저장 장치 전용 네트워크로 상호 구성하여 고가용성, 고성능 , 융통성, 확장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관리하는 기술

 

 

📌 머신러닝

> 컴퓨터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여 예측이나 판단을 제공하는 기술

📌 인공지능

> 인간의 지적 능력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기술

📌 딥러닝

>인공 신경망을 활용하는 개념, 여러 계층의 신경망을 구성해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술